gradle을 이용하여 war를 생성할 수 있다. build.gradle 파일에서 id 'war'를 적어준 뒤plugins { id 'java' id 'war'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2.7.8'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4'} 오른쪽 gradle 탭에서 Tasks > build > war를 실행시킨다. 빌드가 끝나고 나면 왼쪽 프로젝트 내에 build > libs 폴더 안에 war 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이벤트를 보낼 수 있는 4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Polling - 클라이언트가 http request를 서버로 계속 날려서 이벤트 내용을 전달받는 방식 - 가장 쉬운 방법이지만 클라이언트가 많아질 수록 과부하가 올 수 있음 - http 오버헤드 발생 가능성 존재 - ex : js에서 setTimeout이나 setInterval 등을 사용할 수 있음 오버헤드(over head) : 처리 시간 및 메모리 등이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현상 - 오버헤드가 있기에 정보 전송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안정적으로 운용을 가능케함 long-polling - 서버 측에서 접속을 열어두는 시간을 길게하는 방식 - 일반 polling보다는 서버의 부담이 줄어들 수 있지만 다수의 클라이언트에게 동시에 이벤트..
Spring을 이용한 프로젝트를 리눅스 tomcat 서버에 배포하기 1. 해당 프로젝트 우 클릭 -> Export -> WAR file로 내보낸다. 2. FTP를 이용하여 로컬 PC에 있는 war 파일을 리눅스 tomcat/webapps 디렉터리 내에 가져온다. 3. Linux에 존재하는 tomcat/conf/server.xml 파일을 찾아 들어간다. $ vi [해당 tomcat 위치]/conf/server.xml 4. server.xml에서 docBase를 설정한 뒤 동일하게 서비스를 하나 더 추가하면 다중 배포가 가능하다. (단, 포트는 분리해야함) 출처: https://haenny.tistory.com/83#google_vignet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