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SHA-256 해시 알고리즘
SHA-256 해시 알고리즘이란?
1. 입력 메세지를 크기가 512bit인 블록 단위로 나누고 압축함수를 실행하여 256bit의 해시값을 도출하는 해시함수 알고리즘이다.
2. 임의의 길이를 가진 메세지를 해시함수에 입력하면 256bit와 같은 고정 길이의 해시값을 출력한다.
3. 해시값을 다시 해시 함수에 넣기 전인 원래의 메시지로 돌아갈 수 없다는 점이 장점이다.
4. 암호문(해시값)으로부터 평문(입력값)을 얻을 수 없다. (예측 불가능성)
5. 출력 속도가 빠르다.
출처: https://s00m.tistory.com/8 https://bloccat.tistory.com/4
SHA-256 개념 간단 설명
SHA-256 코드를 분석하기 이전에 SHA-256이 무엇인지 간단히~ 알아보겠다. SHA-256이란? 입력 메시지를 크기가 512bit인 블록 단위로 나누고 압축함수(c)를 실행하여 256bit의 해시값을 도출하는 해시함수
s00m.tistory.com
SHA-256?
정의 SHA-256은 앞 글에서 공부한 해시 알고리즘의 종류 중 하나이며 미국 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에서 공표된 표준 해시 알고리즘인 MD와 SHA 중 SHA-2 계열에 속하는 알고리즘이며 현재 블록체인
bloccat.tistory.com
출처: https://st-lab.tistory.com/100
패스워드의 암호화와 저장 - Hash(해시)와 Salt(솔트)
[읽기 전에] 더보기 이 번 주제 같은 경우 어디까지나 비밀번호를 어떠한 원리로 저장하게 되는지 그 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글이다. 읽다보면 구현 소스코드들이 나올텐데 실제로는 이후 나오는
st-lab.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