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토 스케일링이란?
- 서버의 과부하, 장애 등과 같이 서비스 작동이 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때 자동으로 서버를 복제하여 서버를 늘려주는 작업을 해주는 서비스다.
📝 스케일링(Scaling)이란?
- 스케일링이란, 인스턴스 혹은 컴퓨팅 파워를 늘리는 것을 뜻한다.
- 스케일링의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2가지가 있다.
1. 스케일 업(Scale Up)
CPU 1개, 메모리 1개가 있다고 가정하자.
만일 컴퓨터의 성능을 16배로 늘려야 할 상황이 온다면, 말 그대로 16배 큰 인스턴스를 사용하여 성능을 올리는 방식이다.
단, 성능과 비용이 비례하지 않는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2. 스케일 아웃(Scale Out)
스케일 아웃은 스케일 업과 반대로 컴퓨터의 규모를 늘리는 방식이다.
동일한 상황에서 성능을 16배 올리고 싶다면 인스턴스를 16개 가져다 쓰면 된다.
공간의 제약이나 하드웨어적인 제약이 없는 장점이 존재하며 성능과 비용이 비례한다.
하지만, 스케일 아웃으로 인해 수요에 따라 인스턴스를 덜 쓸 수도 있기때문에 유연성이 필요하다.
3. 스케일 인(Scale In)
스케일 아웃으로 늘린 인스턴스를 다시 줄이는 행위를 뜻한다.
이처럼, 오토 스케일링(Auto Scaling)은 스케일 아웃을 자동화(Auto)하기 위해 나온 서비스라고 보면 된다.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한 뒤 용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최대한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성능을 유지한다.
[출처]
[AWS] 📚 Auto Scaling 개념 원리 & 사용 세팅 💯 정리
오토 스케일링 (Auto Scaling) 클라우드 컴퓨팅의 대표적인 장점으로는 필요에 따라 서비스를 빠르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는 유연성을 들 수 있다. 그중, 오토스케일링(Auto Scaling)은 클라우드의
inpa.tistory.com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mcat 안에 있는 각 폴더의 의미 (0) | 2024.11.04 |
---|---|
[Apache] Proxy(Reverse Proxy / Forward Proxy)란? (2) | 2023.12.11 |
WAS와 웹 서버의 차이점 (0) | 2023.11.22 |
Polling / long-polling / Web Socket / Sever-Sent Event (Push) 정리 (1) | 2023.11.21 |